Surprise Me!

[3분증시] 뉴욕증시, 파월 매파 발언에 대체로 약세 外

2024-04-01 0 Dailymotion

[3분증시] 뉴욕증시, 파월 매파 발언에 대체로 약세 外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는 빠르게 우리 증시는 폭넓게 가장 먼저 만나는 3분 증십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간밤 미국 증시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밤 미국 주식시장은 대체로 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종가를 살펴보면 우량주를 모아놓은 다우지수가 0.61% 내린 39,566.85포인트로 장을 마쳤고, 대형주 위주의 S&P500지수는 0.20% 하락한 5,243.77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만 0.11% 홀로 상승해 16,396.83포인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주식과 함께 미국 국채시장도 약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국채 가격이 내려가면서 국채 금리가 급등했는데, 국채금리 기준이 되는 10년물 금리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가 모두 2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간밤 미국 증시 약세 이유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 휴장일에 나온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파월 의장은 미국 공영라디오에 출연해 "경제 성장이 여전히 강하고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다"며 "금리 인하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날 발표된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도 시장 예상치에는 부합했지만, 여전히 목표치인 2%까지는 멀었다는 반응입니다.<br /><br />뿐만 아니라 간밤 발표된 제조업 지표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미국 3월 제조업이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확장세를 보였는데,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탄탄하다는 걸 보여주는 지표로,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를 늦추는 요인이라고 평가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관련주는 급락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트루스소셜의 모회사인 트럼프미디어 주가가 지난밤 20% 넘게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급등했다가 결국 상장 전 가격으로 되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주가 급락엔 지난해 800억원 가까운 순손실을 입었다는 공시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미디어가 적자 기업이라는 사실은 상장 이전부터 알려진 사실인데도 주가가 급등해 반락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나온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가 급락에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유한 지분 가치는 38억 달러, 한화로 약 5조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사회의 특별 승인을 얻어 지분의 조기 매각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에 이어서 국내 증시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코스피 시장 상황, 어땠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제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해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마감가는 전 거래일보다 0.04% 오른 2,747.86포인트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이 닷새 연속 순매수하며 2천600억원 넘게 담았고 기관도 3거래일 만에 매수세로 전환해 200억원 넘게 사들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개인이 3천억원 넘는 차익실현 물량을 쏟아내면서 가격 상단을 제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금요일 미국 증시가 휴장한 사이에 2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가 발표됐지만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 장중 수출 실적이 발표됐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장중 발표된 월간 수출 실적에 종목별로 주가 희비가 엇갈렸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수출이 2년 만에 최대치를 보였다는 소식에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0.49% 하락했지만 8만원대를 지켜냈습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1.37% 상승해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소재·부품·장비 종목도 대체로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자동차 수출이 전기차 판매 부진으로 주춤하면서 관련주 투자 심리가 나빠졌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가 2%대, 기아가 1%대 하락했고 삼성SDI도 3%대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관련주가 돋보였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화장품주 등 중국 관련주는 강세였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경기 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수혜가 기대되는 국내 화장품주에 매수세가 몰린 겁니다.<br /><br />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각각 6%대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또 중국 샤오미의 첫 전기차 SU7이 출시 30분 만에 5만대 넘게 주문됐단 소식에 부품을 공급 중인 국내 관련주도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우리산업이 16.66% 뛰었고 우리산업 최대 주주인 우리산업홀딩스가 10.63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자동차에 변속기를 공급하는 경창산업은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고 최종 25.5% 상승해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끝으로 오늘 코스피 전망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증시가 주춤한 분위기를 이어받아 국내 증시도 변동성이 제한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뚜렷한 상승 재료가 없는 만큼 이번 주 금요일 삼성전자 실적을 대기하는 모습도 나타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에 현대차를 제치고 다섯 분기 만에 국내 상장사 흑자 1위 자리에 복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미국에서 현지시간으로 금요일에 나올 3월 고용보고서에 대한 경계감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3분증시, 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와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